-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 확인 및 계산(+ 지원 금액)카테고리 없음 2021. 1. 17. 01:11
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네가 모르는 것" 세모네모 입니다.
한 때 연 1,000만 원이 넘는 대학 등록금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습니다. 실제로 주변에서 성적이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사립 대학교의 높은 등록금 때문에 대학을 포기하고 국립대로 갔다는 이야기도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2012년부터 정부는 가계부담의 완화를 위해 국가장학금이라는 제도를 시행하여 운영 중입니다.
곧 2021 국가장학금 2차 신청기간이 다가오면서 소득분위에 기준에 대한 질문이 많습니다.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두 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지원자격과 소득분위 기준입니다. 지원자격 안에 소득분위 기준이 포함되어 있죠.
하지만 대학에 진학한 모든 학생이 국가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일정 수준의 성적이 되어야 하고, 가구 소득이 일정 기준에 충족해야 하죠.
그렇다면 국가장학금 지원 자격, 지원 금액은 어떻게 될까요? 그리고 소득분위 기준과 계산은 어떻게 할까요?
국가장학금 지원자격
국가장학금 지원자격은 네 가지로 나뉜다. 1유형, 2유형, 다자녀, 지역인재 국장(국가장학금)의 지원자격은 네 가지로 나뉩니다. 1 유형, 2 유형, 다자녀, 지역인재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경우인 1 유형 지원자격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소득 8 분위(구간) 이하 대학생 중 성적기준 충족자'입니다.
소득분위 기준에 대해서는 잠시 후에 알아보도록 합시다. 먼저 성적 기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성적기준은 직전 학기에 12학점 이상 이수했으며, 평균 성적이 B학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예외적으로 기초 차상위계층 학생은 C학점 이상, 소득분위 1~3구간 학생은 C학점이 2회까지 허용됩니다. 그럼 여기서 2021년 신입생의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A+를 맞으면 성적 요건에 충족한다. "난 신입생인데 직전 학기 성적이 없습니다. 고등학교 성적으로 합니까?"
정답은 "아니오."입니다. 2021년 신입생, 편입생, 재입학생, 장애학생의 경우 성적 기준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4.5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균 학점이 3.0 이상이어야 국가장학금 지원 자격이 됩니다. 100점 기준으로 할 경우 80점 이상입니다. 평점 때문에 국가장학금에 지원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경우는 웬만해서는 만들지 맙시다.
지원 가능한 성적에 대해서는 이 정도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위의 지원 가능한 조건 중 '소득 8분위' 조건이 있습니다. 글로만 보았을 때 와 닿는 게 없습니다. 소득 분위 기준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
한국장학재단에서 참고용으로 제공하는 학자금 지원 구간 경곗값입니다.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하는 기준중위소득과 연계하여 학기 단위로 경곗값이 조정됩니다. 2021년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은 추후에 안내 예정이니 아래의 표는 참고 바랍니다.
최근 3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 경곗값입니다.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기준 중위소득 비율 1구간 1,355,761원(이하) 1,384,061원(이하) 1,424,752원(이하) 30% 2구간 2,259,601원(이하) 2,306,768원(이하) 2,374,587원(이하) 50% 3구간 3,164,441원(이하) 3,229,475원(이하) 3,324,422원(이하) 70% 4구간 4,067,282원(이하) 4,152,182원(이하) 4,274,257원(이하) 90% 5구간 4,519,202원(이하) 4,613,536원(이하) 4,749,174원(이하) 100% 6구간 5,423,042원(이하) 5,997,597원(이하) 6,173,926원(이하) 130% 7구간 6,778,803원(이하) 6,920,304원(이하) 7,123,761원(이하) 150% 8구간 9,038,404원(이하) 9,227,072원(이하) 9,498,348원(이하) 200% 9구간 13,557,606원(이하) 13,840,608원(이하) 14,247,522원(이하) 300% 10구간 13,557,606원(초과) 13,840,608원(초과) 14,247,522원(초과) - 2021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4,876,290원입니다.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은 기준 중위소득 X 구간별 기준중위소득 대비 비율입니다. 8구간의 2021년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은 기준 4,876,290원 X 200% 이므로 9,752,580원이겠네요.
복잡하게 생각하기 싫으시다면 이렇게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8구간 기준으로 매년 약 20만 원 정도 기준이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참고하여 2021년의 소득분위 기준도 어느 정도 예상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위의 계산처럼 직접 해보셔도 됩니다. 위 표를 보면 이런 의문이 생깁니다.
'그래서 나는 몇 분위에 속하는가?'
별도로 계산을 해야 합니다. 소득 산정 방식, 즉 소득분위 기준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소득 평가액 = 소득 - 소득공제입니다.
재산의 소득환산액은 재산에서 기본 재산액인 6,900만 원과 부채(빚)를 뺀 값에 월 소득 환산율을 곱합니다.
* 재산의 소득 환산액(월) = (재산-기본재산액(6,900만 원)-부채) X 월 소득 환산율소득환산율은 일반 재산, 자동차는 월 4.17%/3, 금융재산은 월 6.26%/3입니다. 머리가 아파옵니다.
사실 직접 계산할 필요가 없습니다.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학자금 지원 구간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한국 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학자금 지원구간을 조회할 수 있다.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접속하여 장학금 탭의 학자금 지원 구간을 클릭하세요. 두번 째에 '나의 학자금 지원구간 확인'을 누르면 자신이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머리 아프게 계산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계산을 하려면 부모님의 소득에 대해 모두 알아야 하니 많이 번거롭습니다.
그럼 성적 기준과 소득분위 기준에 대해서 모두 알았습니다. 그렇다면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알아야겠죠? 지원금액은 얼마일까요?
국가장학금 지원금액
국가 장학금의 지원금액은 소득분위 기준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또한 입학금과 수업료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급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1구간, 2구간, 3구간까지는 의 경우 학기별 최대 260만 원, 연간 520만 원을 지원받습니다. 4구간은 학기별 195만 원, 연간 39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5구간과 6구간은 184만 원이며 연간 최대 지원금액은 2를 곱하면 됩니다. 7구간은 60만 원, 8구간은 33만 7천5백 원을 지원받습니다.
국가장학금 지원금액 표 지금까지의 내용을 아주 잘 정리한 동영상이 있어 공유합니다. 지금까지 알려드린 내용을 한 번 더 복습한다는 생각으로 영상을 보시면 완벽히 정리될 것입니다.
국가장학금 정리 영상
관련 글 읽어보기
연말정산 기간과 방법 총정리(+ 꿀팁)
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네가 모르는 것" 세모네모 입니다. 오늘은 연말정산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매년 1월만 되면 연말정산 후 얼마나 받을까 기대가 됩니다. 흔히 13월의 월급이라 부
smnm.tistory.com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및 현금화 방법 (feat.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및 현금화 방법 (feat. 여신금융협회)
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네가 모르는 것" 세모네모 입니다. 저는 카드를 많이 사용하여 카드사별 포인트가 많이 쌓이는 편입니다. 주로 현대카드, 신한카드, KB국민카드, BC카드를 많이 씁니
smnm.tistory.com
코로나 소상공인 3차 지원금 신청방법 A to Z (+ 대상, 지급액, 기간)
코로나 소상공인 3차지원금 신청방법 A to Z (+ 대상, 지급액, 기간)
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네가 모르는 것" 세모네모 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유행하기 시작한 지 거의 1년이 되어갑니다. 2020년 초만 하더라도 확진자 10명이 나왔다고 하면 정말 무섭게
smnm.tistory.com
2021 연봉 실수령액 표와 계산기, 내 올해 월급은?
2021 연봉 실수령액 표와 계산기, 내 올해 월급은?
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네가 모르는 것" 세모네모 입니다. 2021년 신축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밝은 지 조금 됐죠. 해가 바뀔 때마다 찾아보는 자료인 듯합니다. 또 한 번 찾아보고 끝이 아닌
smnm.tistory.com
지금까지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과 계산 방법, 지원 금액까지 알아보았습니다. 글을 제대로 따라오셨다면 국가장학금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세상의 모든 네가 모르는 것을 다루는 ㅅㅁㄴㅁ였습니다.
유익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반응형